IT지식 공유

Hitachi VSP GUM 이란?

집제리 2022. 12. 7. 15:15
728x90

Hitachi 스토리지 VSP 사용하다보면 GUM 관련 에러가 발생할 때가 있다.

구글링을 해서 찾아보지만 명확하게 나와있지 않아 글로 정리해본다.

 

SVP - Storage시스템 구성도

 

우선 VSP 스토리지의 Management 는 SVP서버로부터 이루어진다.

SVP서버는 Windows OS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통 관리자들은 SVP 서버를 이용하여 스토리지 전반적인 상태 체크 및 작업, 점검을 수행하게 된다.

 

그렇다면 GUM은 무엇일까?

 

스토리지 시스템은 disk 와 controller 로 이루어져 있다. disk는 말그대로 저장소 이다. 다양한 종류의 disk에 데이터를 적재하게 된다. controller 는 disk 와 외부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말그대롤 컨트롤러이다. disk 와 controller 는 내부용 Internal LAN으로 연결되어 있다.

GUM (Gateway for Unified Management)은 controller 에 임베디드로 설치된 Linux 기반의 상태 체크용 OS라고 보면 된다.

SVP서버는 스토리지 시스템의 GUM OS와 통신하여 컨트롤러 등 전체 스토리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한다. SVP서버에서 확인하고 있는 GUI가 바로 GUM OS로 부터 이루어진다.

 

GUM temp성 에러

추가로 VSP 스토리지 운영하다보면 위 에러로 엠버등이 뜰 수 있다. GUM의 config정보들을 읽어오는데 실패하였다는 뜻이다. 그러면 전체적으로 disk, controller 등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하고, 정상이라고 하면 GUM 만 reboot 해주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.

 

GUM reboot 방법

controller 당 GUM이 각각 존재하며 문제되는 controller 의 GUM만 reboot 진행하면 된다.

상태 체크 OS이기 때문에 disk 및 controller 의 동작에는 영향이 없으며 GUM reboot 진행 시 SVP서버와 controller GUM OS간의 PingLoss 는 잠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.

 

 이상 GUM이 무엇인지, GUM reboot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.

728x90

'IT지식 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 AIX 파일 초기화 방법 cat /dev/null  (0) 2022.11.10
디스크 RAID 정리  (0) 2022.11.10
AIX HOSTNAME 변경  (0) 2022.11.09
AIX 계정 잠금 해제  (0) 2022.11.09
Linux history 명령어 TimeFormat 적용  (0) 2022.10.11